본문 바로가기

가사/상속/유류분

유류분청구기간 기준 및 법률 사항에 대해

유류분청구기간 기준 및 법률 사항에 대해


유류분 반환 청구 소송은 많이 발생하는 상속 분쟁 중 하나입니다. 유류분 반환 청구 소송은 일정 상속 부분을 받을 수 있도록 법률로써 보장해 주는 제도입니다. 이를테면 장손 또는 막내에게만 재산을 상속을 했을 경우 나머지 형제들이 불평등하다 느낄 수도 있겠지요. 그럴 경우 상속된 재산의 일부를 분배해 달라는 의미의 소송을 제기할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해당 소송이 바로 유류분 반환 청구 소송입니다. 하지만 이 유류분 반환 청구 소송은 유류분청구기간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 시효 내에 소송을 제기해야 그 효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유류분청구기간을 맞추는 것이 분쟁을 겪기 전 가장 중요한 단계인 것이라 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소송이 발생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해당 사안은 형제 간에 치열한 법정 다툼이었던 만큼 미디어의 화제가 되었던 사건이었습니다. 어떤 사건인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B가게를 운영하고 있던 ㄱ씨는 A기업의 최대 주주이기도 했습니다. 그런 ㄱ씨가 사망하면서 ㄱ씨의 장남 ㄴ씨가 주식을 전부 상속했습니다. 그러자 차남인 ㄷ씨는 ㄱ씨의 유언 무효를 주장하면서 형인 ㄱ씨를 상대로 유류분 반환 청구 소송과 수익금 분쟁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결국 형제 간의 싸움이 시작된 것인데요. 해당 사안에서 재판부는 장남 ㄴ씨의 손을 들어주며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습니다. ㄷ씨가 제기한 소송에 대해 기각하는 판결을 내린 것인데요. 재판부가 이 같은 상속 분쟁에서 ㄴ씨의 손을 들어주며 ㄷ씨의 유류분과 수익금 배분을 인정을 하지 않은 이유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와 같은 사안에서는 부친인 ㄱ씨가 ㄴ씨에게 상속을 한 주식이 과한 액수인지, 차남 ㄷ씨가 ㄱ씨가 사망하기 전에 증여를 받은 특별 수익이 있었는지에 대한 부분들이 판결에 있어서 중요한 사항들이 됩니다. 그렇기에 재판부는 이러한 부분에 집중했습니다. 이에 따라 재판부는 ㄷ씨의 소송을 기각하는 판결을 내린 것입니다. 또한 이후에 ㄷ씨가 제기한 수익금 분쟁 소송에서도 ㄱ씨가 운영했던 가게의 발전에 ㄷ씨가 기여를 많이 했다고 하더라도 그 공로로 인해 수익을 개인에게 귀속시키는 것은 관행이나 수익금 규모에 이례적이라고 말하며 원고패소 판결에 대한 이유를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상속 분쟁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이처럼 형제지간이라고 하더라도 상속으로 인해서 치열한 법적 갈등이 발생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특히 유류분 반환 청구 소송의 경우 유류분청구기간을 잘 알고 계셔야 그 권리를 행사할 수가 있을 것이며, 생전에 증여 받은 특별 수익의 유무에 따라서 판결이 달라질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한 상속인에게 상속 재산이 몰리게 되어 불합리한 상황에 놓이셨거나, 생전 증여를 받아 특별수익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상속 시 공제가 되지 않은 경우 상대가 본인을 상대로 유류분 반환 청구 소송을 진행했다면 관련 법리에 따라서 유리하게 분쟁을 잘 이끌어 나가시는 것이 중요할 수 있을 것입니다.